2월의 NGO Pick <의료 접근성>
“가난한 나라에는 왜 의료 혜택이 전해지지 못할까”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발표 이후 온 나라가 들썩이고 있다.
정부는 필수 의료분야, 지역의 의사 수 부족과 급속한 고령화 등으로 늘어나는 의료 수요를 감안 하여 의대 정원 증원을 결정하였다고 발표했다. 이에 반해 의료계는 인력관리의 어려움으로 의료의 질 저하, 필수 의료에 대한 기피 증가, 국민 의료비 부담 증가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고, 시민사회는 공공의대 설립 관련법 국회 통과를 촉구했다. 필수 의료 붕괴를 막고 지역의료 격차를 해소하려면 의사 인력 확대 뿐 아니라 공공의대 설립 및 지역 병원 의사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우리 국민은 신경외과, 외과, 소아과, 흉부외과 등 필수 의료진 부족으로 받게 되는 피해를 당연하게 여겨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같은 의무를 지고 있는 의료보험에 비해 지역별 차별은 정당한가에 대한 문제를 직면하고 있다.
이 책은 좋은 보건 의료 기술이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는 빈곤 국가의 가난한 사람들을 건강하게 만들 수 없다는 단순한 현실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질병에 맞서 삶의 질을 높이는 보건 의료 기술의 발달은, 높은 수준을 자랑한다. 그러나 생존을 위한 기술이 과연 이를 가장 필요로 하는 이들에게 전달되고 있는가를 묻는 저자들은, 기술이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지를 되돌아보게 하는 한편, 의료 기술이 최종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의미로서 ‘접근성’을 구현할 체계적인 노력과 협업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사례와 이론적 접근을 통해, 보건 의료 접근성 불평등의 단계, 분포, 결정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함께, 가난한 사람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 가능한 해법의 논리적 프레임 또한 제공한다.